티스토리 뷰
목차
육아휴직 급여 최대 450만원? “6+6 부모 동시 육아휴직제” 꼭 챙기세요!
요즘 주변에 둘째 준비 중인 친구들이 많아져서 육아휴직 제도들을 다시 들여다보게 됐습니다.
2025년부터 시행되는 ‘6+6 부모 동시 육아휴직제’, 혹시 들어보셨나요?
저도 최근 알게 됐는데, 이거 진짜 혜택 크더라고요.
부모가 둘 다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급여가 확! 올라갑니다.
✔ 제도가 뭐예요?
간단히 말해서,
자녀가 생후 18개월이 되기 전에 엄마, 아빠 둘 다 육아휴직을 썼다면,
초기 6개월 동안 월 최대 450만 원까지 육아휴직 급여가 나온다는 제도입니다.
같은 시기에 쓸 필요도 없고, 엄마 먼저 쓰고 아빠 나중에 써도 적용됩니다.
단, 부모 둘 다 육아휴직을 써야 한다는 조건은 있어요.
얼마나 나오는데요?
2025년부터 아래처럼 월별로 급여 상한이 올라갑니다:
월차 | 최대 급여 상한 |
1~2개월 | 250만원 |
3개월 | 300만원 |
4개월 | 350만원 |
5개월 | 400만원 |
6개월 | 450만원 |
아내가 2025년 2월부터 육아휴직 6개월 쓰고,
남편이 4월부터 6개월 쓴다면 → 두 사람 모두 위 기준으로 급여 받는 거예요.
정확히는, 두 번째로 육아휴직을 쓴 사람의 신청 시점에 ‘6+6 적용 대상 여부’를 판단해서
첫 번째 사람의 급여도 사후 정산해서 추가로 지급된다고 하더라고요.
꼭 기억해야 할 포인트
- 자녀가 생후 18개월 이내여야 합니다.
- 부모 모두 육아휴직을 써야 혜택이 적용 가능합니다.
- 같은 시기에 안 써도 적용 가능합니다.
- 2025년부터는 육아휴직 급여도 매월 직접 지급돼요.
예전처럼 일부만 지급받고 나중에 정산받는 구조가 아니라,
각 월차에 맞는 급여가 그 달마다 통장으로 바로 들어옵니다!
Q&A 한 줄 요약
Q. 2024년에 육아휴직을 이미 3개월 썼는데, 2025년에 또 쓰면 6+6 되나요?
→ 6개월 기준은 누적이에요. 2025년엔 4개월차로 간주되어 350만원 상한 적용돼요.
Q. 부모가 같은 회사여도 가능해요?
→ 네, 가능합니다. 단 회사 상황에 따라 휴직 시기 협의는 필요할 수 있어요.
출산휴가, 육아휴직은 ‘있다’는 걸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언제, 어떻게 쓰면 유리한지 아는 게 더 중요하잖아요?
이 6+6 육아휴직제도는 제대로 활용하면 월 최대 900만 원(부부 합산)까지 받을 수도 있는 제도라
정말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혹시 주변에 아기 있는 분들 있다면 꼭 공유해 주세요 :)
진짜 꿀 정보예요.
※ 실제 육아휴직 급여는 통상임금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자세한 건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나 회사 인사팀 통해 확인하는 걸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