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한민국은 2024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고령자의 운전은 여전히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신체·인지 기능 저하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도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4년 말 서울시청 인근에서 70대 운전자의 사고로 13명이 사상한 사건이 발생해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에 정부와 경찰청, 한국교통안전공단(KOTSA)은 고령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제 어떤 변화들이 있었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이런 주기 단축과 검사 강화는 고령 운전자의 도로 위 사고 방지가 목적입니다.
2025년 말부터 시행되는 VR 운전능력 자가진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인지·판단 능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단순 설문·치매 검사에서 진일보한 평가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2025년 4~5월,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대상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시범사업을 진행했습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운전 인지 실습 교육(20시간)을 제안하며, 인지 항목을 집중적으로 강화한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고령 운전자의 면허 자진 반납을 장려하기 위해:
항목 | 대상 | 내용 |
적성검사 주기 | 65세↑: 5년 / 75세↑: 3년 | 시력·청력 등 검사 + VR 자가진단 도입 |
VR 자가진단 | 75세 이상 면허 갱신 시 | 비보호 좌회전, 코너링 등 시뮬레이션 평가 |
조건부 면허 | 인지 저하 운전자 | 야간·고속도로 운전 제한 |
안전장치 지원 | 65세 이상 |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무료 설치 |
인지실습 교육 | 고령 전체 | 시지각 훈련 통해 사고율 절반 감소 |
면허 반납 인센티브 | 자진 반납 고령자 | 교통비·현금·서비스 바우처 지급 |
2025년 기준 대한민국은 고령운전자의 실제 운전 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사고 위험을 줄이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VR 진단, 조건부 면허, 페달 보호장치 보급, 인지 실습 교육 등은 모두 안전을 우선한 제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