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고령자·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특화주택 공모 시작!

     

    – 4월 7일부터 6월 8일까지 공모 접수, 총 4가지 유형의 특화주택 추진 –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맞춤형 공공임대주택 공모는 청년, 고령자, 중소기업 근로자 등 다양한 계층의 주거 복지를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이번 사업에서는 다양한 특화주택 유형을 통해,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생활 편의시설까지 제공하려고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 사업에 대한 상세한 사업 설명, 거주 기간, 신청 방법선정 기준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주요 일정

    구분일정
    사업설명회 4월 2일(충청), 4월 4일(수도권)
    공모 접수 4월 7일(일) ~ 6월 8일(토)
    제안서 검토 및 심사 6월 ~ 7월
    결과 발표 8월 예정

    특화주택의 4가지 유형

    1.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 특징: 지방자치단체의 수요에 맞춘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으로, 귀농·귀촌 장려나 출산 장려 등을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설계가 가능합니다.
    • 설계 사항: 지자체의 특성에 맞춘 입주자 자격, 선정방식, 거주기간 등을 지자체에서 설정 가능.
    • 거주기간: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년에서 5년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이후 재계약이 가능합니다.

    2. 고령자 복지주택

    • 특징: 65세 이상 고령자사회복지시설이 함께 설치되는 주거단지로, 주거약자용 설계 및 의료와 돌봄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 설계 사항: 휠체어 등 주거약자용 설계를 포함하고, 1~2층 규모로 건설됩니다.
    • 거주기간: 무제한 거주 가능 (단, 주거자의 복지상태와 재정 상태에 따라 재계약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
    • 입주 대상: 생계급여 수급자, 의료급여 수급자 등이 우선 순위로 배정됩니다.

    3. 청년특화주택

    • 특징: 만 18세~39세 이하 청년 및 대학생을 위한 주택으로, 역세권 중심의 편리한 위치에 설계됩니다.
    • 설계 사항: 공유공간, 커뮤니티 공간, 체육시설 등이 포함되어 청년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킵니다.
    • 거주기간: 보통 2년에서 3년, 졸업 후 근로 시 연장 가능.
    • 입주 대상: 미혼 청년, 대학생 등이 주요 대상입니다.

    4.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 특징: 중소기업 근로자, 산업단지 근로자, 창업자 등이 대상이며, 주거지와 업무공간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 설계 사항: 주거 공간과 함께 공유오피스창업 공간이 결합되어 창업과 일자리가 연계됩니다.
    • 거주기간: 3년 ~ 5년의 거주 기간을 기본으로 하며, 이후 재계약을 통해 최대 10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입주 자격 및 선정 방법

    1. 입주 자격

    • 고령자 복지주택: 65세 이상 무주택자, 생계급여 수급자 등.
    • 청년특화주택: 만 18세 ~ 39세 이하 미혼 청년, 대학생 등.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중소기업 근로자, 산업단지 근로자, 창업자 등.
    •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지자체에서 지역 특성에 맞춰 설정된 자격 기준에 맞는 주민.

    2. 선정 방법

    • 청년특화주택: 추첨제 + 우선공급 (신혼부부, 대학생 등)
    • 고령자 복지주택: 소득기준 + 기존 복지시설을 포함한 우선공급
    • 일자리 연계형: 소득기준근로계약서 등으로 선정
    • 지역제안형: 지자체 공모에 의해 선정

    3. 거주 기간

    • 고령자 복지주택: 주거기간 무제한 (복지상태에 따라 재계약 및 거주 연장 가능)
    • 청년특화주택: 기본 2~3년, 이후 근로 연장 가능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기본 3~5년, 재계약을 통해 최대 10년 거주 가능
    • 지역제안형: 일반적으로 3~5년, 지역 특성에 따라 다름.

    신청 방법

    특화주택 공모국토교통부LH,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합니다.
    개인은 신청할 수 없고, 공공주택사업자(LH, 지자체 등)가 사업 제안을 통해 주거약자 맞춤형 주택을 설계합니다.
    따라서 입주자는 사업자가 발표한 입주자 모집 공고에 맞춰 신청하면 됩니다.

    🖱️ 신청 사이트

     

     

     

     


    선정 후 절차

    1. 심사: 제안서 제출 후 국토교통부LH의 심사를 거칩니다.
    2. 입주자 모집: 심사 통과 후 입주자 모집 공고가 나면, 해당 공고를 참고해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3. 선정 발표: 선정된 입주자는 입주 계약을 통해 주택에 입주하게 됩니다.

    참고 자료

     

     

     


    마무리

    청년, 고령자, 중소기업 근로자 등 다양한 사회적 계층을 위한 이번 특화주택 사업은 주거의 질을 높이고, 복지와 일자리가 함께 제공되는 혁신적인 정책입니다.
    주거와 복지, 일자리를 아우르는 맞춤형 특화주택에 관심이 있다면, 해당 공모일정을 놓치지 말고 신청해 보세요!

     

    ▼관련 자료 참고하기 ▼

    250407(조간) 청년·고령자·중소기업 근로자 등을 위한 맞춤형 특화주택 신청하세요(청년주거정책과).pdf
    0.45MB

     

    반응형